freemind(프리마인드) 마인드맵 프로그램 본문

컴퓨터

freemind(프리마인드) 마인드맵 프로그램

2017. 12. 19. 11:34

아이디어를 떠올리거나 머릿속에 수많은 생각들을 정리하기 위해 마인드맵을 많이 활용합니다. 생각을 구조화 하기 좋은 방식으로 연관된 생각들을 분류하고 정리하기에도 좋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아이디어를 얻기 위해서 자주 사용하는 사고의 한 방법입니다.



"마인드맵은 자신의 생각을 지도 그리듯 이미지화해 사고력.창의력.기억력을 한 단계 높인다는 두뇌 개발 기법이다. 간혹 어떤 문제에 대하여 창조적으로 사고하고 있을 때, 시간이 흐르거나 연속적인 사고의 연상이 진행되면서 그 사고한 내용의 일부는 잃어버리게 되고 재생하기가 어렵게 된다. 마인드맵은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일련의 생각을 훌륭하게 상기시켜준다."


출처 : [네이버 지식백과] 마인드 맵 [mind map] (시사상식사전, 박문각)



이런 마인드맵을 노트에 손으로 써도 되지만 컴퓨터를 이용 한다면 좀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. freemind(프리마인드)는 마인드맵을 작성할 수 있는 기본적인 기능에 충실하며 심플한 소프트웨 입니다.


먼저 freemind는 해외에서 개발된 프리웨어로 아래 공식 다운로드 페이지에서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 있다. 프리웨이이니 개인이나 기업,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
다운로드 주소 : http://freemind.sourceforge.net


다양한 OS를 지원하고 있으며 본인이 사용하는 윈도우 버전에 맞는 것을 다운받으면 되는데 아래와 같이 최소 버전이 아닌 모든것이 포함된 전체 버전으로 다운받기를 추천합니다. 



설치를 진행하면서 Java Runtime 을 설치할 것이냐고 물어볼 것입니다. 본인의 PC에 Java Runtime이 설치되어 있지 않는 사람은 같이 설치하여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. (Java Runtime이 설치되어 있는지 모를 경우는 그냥 같이 설치합니다.)





기본적인 인터페이스 아주 직관적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 상단 메뉴와 그 아래에는 자주 사용하는 기능들로 구성되어 있는 툴바가 있고 좌측에는 텍스트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아이콘들이 있습니다.


처음 실행하면 화면의 중앙에 '새로운 마인드맵' 이라는 것만 덜렁 있어 당황할 수도 있지만 아래의 3가지의 기본적인 사용법만 알면 누구나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

기본적으로 노드를 추가하는 형태로 생각의 연결고리를 확장하는 방식으로 작성할 수 있습니다. (노드는 아래 그림과 같이 작성된 글로 구성된 단위를 말함)

 

1. 하위 노드를 작성할 때는 insert 키

2. 같은 레벨의 노드를 작성할 때는 enter 키

3. 노드를 지울때는 delete 키


* 화면을 움직일 때는 마우스 왼쪽 버튼을 꾹! 누른 상태에서 움직이면 화면을 이동할 수 있습니다.


이런 기능들은 상단의 툴바나 노드위에서 마우스로 오른쪽 버튼을 눌러 나오는 옵션 메뉴에서도 사용할 수 있지만 키보드로 사용하는 것이 빠르고 편리합니다.



추가로 노드의 글자 색상을 바꾸려면 아래 그림과 같이 노드 위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나오는 옵션 메뉴에서 '포맷' 그 다음 메뉴에서 '노드 색상'을 선택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.



원하는 색상을 선택하고 '확인'을 누르면 노드 글자의 색상이 변경됩니다.



마지막으로 작성한 파일을 다른 사람과 공유하기 위해서는 기본 저장 파일이 아닌 다양한 PC에서 볼 수 있는 파일로 저장하여야 하는데 '내보내기' 기능을 이용하면 됩니다.


상단 메뉴의 '파일 > 내보내기' 에서 이미지 파일 또는 PDF로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이 있으니 선호하는 파일 형태로 저장하면 작성된 마인드맵이 선택한 파일 형식으로 저장됩니다.



여기까지 마인드맵을 작성할 수 있는 freemind(프리마인드)에 대해 알아 보았는데 기본에 충실한 프로그램으로 몇번만 사용해 보면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. 생각이 복잡할 때는 마인드맵으로 정리해 보면 의외로 막혔던 부분이 풀리는 경우도 있으니 어떤 일들을 구체화 하는 과정에서 아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 같습니다. 


최근에 올라온 글

TAG

more